높은 노인 빈곤율의 원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연일 뉴스와 매스컴에서 보도되고 있는 한국의 고령화 가속화는 남 얘기처럼 듣던 때는 지나고 가까운 지방에서부터 몸소 체험하고 있는 사태까지 와 있습니다. 한국의 고령화 평균은 현재 OECD 평균보다는 낮은 수준이지만 앞으로 다가올 미래에 관한 이야기라면 많이 심각한 이야기입니다. 해를 거듭할수록 출산율이 낮고 기대 수명이 높아지는 건 기정사실처럼 되어 왔습니다. 한국의 고령화 가속화는 세계에서 가방 빠른 속도록 진행되고 있습니다.
아름다운 노년을 맞이해야 하는 노년기에 기대감보다는 노년이 되기 전부터 걱정이 앞서 가는 장년들이 많을 겁니다.
가속한 고령화의 진행
가속한 고쳥화 진행에 비해 다른 사회적 대응 부족한 상황입니다. 예를 들면 고령화에 따른 사회 서비스나 연금과 같은 노후 대비 시스템이 노인 인구의 증가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노인들은 경제적으로 더 어려운 상황에 처하게 되는데, 전문가들은 이것을 한국의 높은 노인 빈곤율의 근본적인 원인으로 뽑고 있습니다.
불안정한 수입원
불안정한 수입원이 고령화의 진행을 가속화시켰습니다. 최근에는 산업화와 가족 구조 변화 등으로 인해 자녀세대가 부모를 부양하는데 전통적인 관념에서 바뀌거나 관심을 덜 가지고 있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노인들은 자녀세대에게 의존하기 보다는 개인 스스로 수입원을 찾거나 개인 스스로 의존을 하려고 합니다. 하지만 고령층이 직접 일을 하거나 사업을 해서 소득을 얻을 수 있는 노인도 있는 반면에 개인 소득원으로는 생활하기에 부족한 노인들이 아직 많습니다. 고령층 중에서는 자신이나 배우자의 소득에 의존하는 사람들의 비율이 2002년의 55.9%에서 2017년에는 69.9%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스스로 개인 수입원에 의존하려는 노인이 많은 반면에 현실에서는 고령층이 일자리를 찾기가 쉽지 않습니다. 산업이 변화하면서 고령층에 대한 일자리 수요가 줄어들었기 때문입니다. 사람이 하던 일을 로봇이 대신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듯이 산업의 변화로 노인의 일할 자리가 점점 줄어들고 있습니다. 그 결과 많은 고령층이 임시로 일하는 일자리를 찾는 것이 증가했지만 이런 일자리는 안정적이지 않고 임금도 낮은 경우가 많습니다.
부족한 노후 준비
부족한 노후 준비는 노후를 준비하고 있는 가구의 숫자는 점점 늘고 있지만, 여전히 노후 준비를 하지 않고 있는 가구도 많습니다. 특히 60세 이상의 가구 중에서는 노후 준비를 하지 않는 다는 비율이 43%에 도달할 정도이니 노후 준비 없는 노후 생활은 경제적으로 안정적일 수 없을 것입니다. 사람들은 다 나이가 늙어감에 따라 수입원도 줄어든다는 것을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노후 준비를 하지 않는 걸까요? 여기에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통계에 따르면 62%의 가구 노후 준비 능력의 부족이라고 이유를 듭니다.
노후를 준비를 어렵게 만드는 주된 이유는 대출 상황 부담과 함께 자녀의 교육비, 결혼 비용 등에 지출하는 돈이 많아지는 것입니다. 2018년 서울연구원이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주택을 구매하거나 그에 따른 대출 상환에 대한 부담이 53.2%로 노후 준비를 가장 어렵게 하는 이유로 나타났습니다. 그 뒤를 이여 44.6%의 교육비 및 양육비가 노후 준비를 힘들게 하는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습니다.
공적인 연금 부족
공적인 연급 부족에 대해서 이야기하겠습니다. 한국은 주요 선진국들과 비교하면 공적인 연금이 늦게 도입되었습니다. 고령자들이 받는 돈의 액수가 적고 혜택을 받는 사람도 적은 편입니다. 또한 공적 연금을 이용한 고령층의 소득 보호 기능도 부족한 상황입니다. 65세 이상 고령층 중에서 국민연금을 수령하는 사람은 전체 인구의 약 35%에 불과합니다. 공무원, 사학, 군인 등의 직장 연금을 포함하여 살펴보아도, 이들을 수혜로 받는 비율은 40%를 넘지 못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금으로 받는 돈이 현재 소득의 45% 정도이며, 이는 OECD 국가의 평균인 62%에 비해 부족한 수준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고령층의 빈곤을 줄이기 위해 공적인 연금과 같은 소득 재분배 시스템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소득 재분배 정책과 연금 체계를 개선하기 위한 자금 조달 방법 등에 대한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하며 국민 전체의 참여와 합의가 필요합니다.
한국의 고령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현실은 우리가 직접 경험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노인 빈곤율이 높아지는 이유를 이해하고, 고령층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대책이 필요합니다. 공적 연금부터 개인 노후 준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영역에서의 개선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정부와 시민 모두가 협력하여 노인들의 안녕과 복지를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노인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인소득보장제도(연금제도,공공부조,사회수당) (0) | 2024.02.24 |
---|---|
노인 인구 변화 및 사회적 변화 (노인복지론) (0) | 2024.02.24 |
노인 복지 (노인의 욕구와 노인 문제) (0) | 2024.02.24 |
노인에 대한 개념적이해 (노인복지론) (0) | 2024.02.23 |
노인빈곤율의 영향 (0) | 2024.02.16 |